이거 저거

PC SYSTEM 백업과 복구

SuperREA 2013. 11. 26. 19:30

 

백업 및 복구 자동 시스템

 

중개업에 있어서 모든 자료는 경쟁력과 직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최신의 것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이러한 자료들을 보관한 PC나 저장 장치에 이상이 있다면?

근간에는 대용량의 클라우드 시스템이 무료로 제공되기도 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할 수만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이 있다. 그것도 무료로!!!

 

http://www.ascomp.de/index.php?php=prog&prog=backupmaker

 

이 곳을 링크하시면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물론 전문가용은 구매해서 사용해야 한다.

무료버전을 현재 사용중인 데, 대만족이다.

용량도 zip 형태를 이용하므로 많이 차지하지도 않는다.

 

사용법에 들어가기 전 백업과 복구에 대해서 필요한 아주 간단한 기초 상식만 언급하고 가자.

 

백업에는 시스템 전부를 백업하는 FULL Backup과 특정일 이후 변동된 자료만을 백업하는 PARTIAL Backup이 있다. 만약 아주 중요한 자료인 경우 PARTIAL 백업의 시간 단위를 분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 그럴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없었다(아마 예술 방면에서는 필요할 것).

 

따라서, 시스템을 포함한 FULL Backup을 받아서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이를 MASTER라 한다), 주 단위 혹은  월 단위로 FULL Backup을 받고 요일별 혹은 일자별로 PARTIAL Backup을 받는다고 가정한다면,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따라 복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PC 시스템이 완전히 망가졌다면 당연히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정도의 복구를 한 후에 MASTER를 이용한 복구, 최종 FULL Backup을 이용한 복구, 요일별 혹은 일자별 순서에 따른 복구 작업을 통하여 장애 발생 이전의 Backup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것이다(아쉽게도 복구 작업은 해보지 않아서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이 프로그램에서 복구할 파일을 선택하고 몇 가지 옾션을 준다면 자동으로 zip 파일을 풀어 복구해 줄 것으로 추측이 되기 때문에 앞에서 말한 순서만 잘 지정해주면 순조롭게 마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앞에서 말한 조건으로 Backup 설정을 해보자.

 

설정에는 다섯 스텝이 있다.

1.    Backup 대상 선정 : 파일 혹은 폴더 단위로 선정한다.

2.   Backup 간격 설정 : 분단위로 할 것인지, 몇 시에 할 것인지, 아니면 PC를 켜거나 끌 때, 혹은 USB를 인식할 때 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요일 단위로 할 것인지 일자 단위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MASTER Backup은 당연히 PC 전체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FULL Backup은 시스템 관련 CD 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대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따라 C: 드라이브에 폴더를 만들거나 C:Program Files 내에 폴더를 만들기도 하므로 아예 C: 전체를 대상으로 하거나 C:Program Files C: 내의 특정 폴더들을 지정한다. 요즈음엔 C: 와 별도로 데이터를 위한 영역을 Partition 으로 나누어 별도의 드라이브로 지정하고 있으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해당 드라이브도 추가하여야 한다. PARTIAL Backup FULL Backup의 조건과 같이 대상을 정한다.

3.   Backup Type 설정 : FULL Backup이냐 PARTIAL Backup이냐를 정하는 단계인 데, MASTER Backup이나 FULL Backup을 받은 것이 있다면 PARTIAL Backup을 선택하고, Since last full backup을 추가한 후에 Full backup after ? partial backups 를 선택해 준다면 M-P-(n)P – P – F – P.. 의 백업을 받을 수 있다. 만약 백업 장치의 저장 용량이 충분하지 않다면 Since last partial backup 을 선택하면 되는 데, Since last full backup을 선택한 경우의 차이는 저장 용량은 적게 차지하지만, 복구할 때 번거로운 점이 있다.

4.   Backup 위치 설정 : 백업을 할 장소를 정하는 것으로 로컬이나 외장 하드, DVD FTP 서버 및 외부 웹하드까지 지정할 수 있다. 외부 웹하드를 지정할 때에는 컴퓨터내 하나의 드라이브로 나타나야 한다.

5.   Backup 명 지정 : 마지막 단계로 백업을 그룹별로 실시하여 구분할 때 분류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인 데, 고민할 필요없이 그룹명은 없이 백업 명칭은 NEW BACKUP 등으로 하고 Use current date as file name을 선택한 후 백업일자 시간 뒤에 백업 명칭이 오는 옾션을 선택하면 백업 파일 명칭은 자동으로 yyyy-mm-dd hh-mm NEW.zip 으로 만들어진다.

 

참고로, 특정일자로 FULL Backup을 실시하여 MASTER를 제작한 후 월요일과 목요일엔 FULL, 화요일과 수요일, 금요일과 토요일엔 Partial로 지정하고 Windows 를 끌 때 백업이 실시되도록 하면 마음이 한결 편안해진다. 물론, 시스템에 변경이 있는 경우 다시 MASTER를 만들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복구 방법을 보자(PARTIAL Backup 조건은 Since last full backup).

 

앞에서 예를 든 것처럼 백업을 실시하면 요일별로 백업된 형태는 Fm-Pt-Pw-Ft-Pf-Ps1(만약 일요일에 근무하여 PARTIAL Backup이 있다면 –Ps2)가 될 것인 데, 이러한 형태는 대형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형태와 같다. 아무튼 어느 토요일 오후1시경 PC에 장애가 발생했는 데, 시스템을 복원할 정도로 심각하다면 Format 한 후 시스템 구입시 딸려 온 CD 등을 통하여 초기화하는 작업은 불가피할 것이므로 이를 마친 후 RESTORE 기능을 이용하여 MASTER Backup으로 1차 복구한다. 최종 백업을 실시한 것은 Fm-Pt-Pw-Ft-Pf 의 형태로 보관되어 있을 것이므로 목요일에 백업을 한 Ft Backup으로 2차 복구하고, 금요일까지 작업한 것을 백업 받은 Pf Backup으로 3차복구한 후, 토요일에 작업한 내용이 있다면 이것들은 재작업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