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씨는 박씨를 상대로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를 함에 동시에 당시 빌라 매도인에게 매매계약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해야 한다. 장씨와 한씨의 매매계약은 유효하기 때문이다. 명의신탁관계라는 것을 입증한다면 쉽게 승소해 빌라를 되찾을 수 있다.
그러나 소유권회복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명의신탁자에게 부동산 가액의 30%의 범위 내에서 과징금을 부과하고,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형이 선고될 수 있다. 금전적으로 세금을 아끼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만약 장씨가 부동산을 제3자에게 파는것은 가능할까. 장씨는 박씨로부터 부동산을 매수한 사람에게는 등기이전을 요구할 수 없다. 명의신탁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박씨를 횡령죄로 고소하고, 매매대금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 뿐이다. (본문중)
http://t.co/0ioL84SMcF
'부동산 관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4.7.29 금융감독위원회-"부동산 매매시 근저당권 담보범위 꼭 확인하세요 (0) | 2014.07.30 |
---|---|
평균 아파트 (0) | 2014.07.29 |
아파트 선호 조사 (0) | 2014.07.26 |
영업신고 서류완비시 부당행정처분 사례 (0) | 2014.07.26 |
담보권 설정 동산의 강제 집행 절차 개시 (0) | 2014.07.26 |